연봉 1억원과 활동비 1억∼2억원의 매력적인 보수, 직원 인사권, 차량 제공, 농축산업과 산림관련 회사에 대한 막강한 영향력. 이런 권한의 소유자는 누굴까?

3월 13일 조합원의 투표로 선출된 농축협, 산림조합장이다.

조합장에 당선되면 읍면(邑面)에서는 국회의원도 부럽지 않은 경제력과 권력을 누린다.

특히 비상임 조합장은 보수는 많고 책임은 없는 그야말로 신(神)도 탐내는 보직이다. 그 지역 최고의 유지가 된다.

신(神)이 탐을 낼 정도이니 사람들은 얼마나 탐을 낼까?

여기에 공무원과 지방의원, 이장, 조합 임원 등을 역임한 능력자들이 몰린다.

전직 공무원은 공직에 있을 때 전문성을 살리겠다고 하지만 실리까지 챙길 수 있어 인생 2모작 최고 투자처로 인식하고 있다.

군의원과 도의원은 의정비가 3000∼4000만원에 그치고 각종 민원에 시달려도 칭찬 한번 듣기 어렵지만 조합장은 보수와 권한에 재량사업까지 명예와 실속을 한 번에 잡을 수 있어 군의장 출신도 출마하고 있다.

조합원이 1500명 내외로 많지 않은데다 선후배 관계로 얽혀 있고 선심성 지원이 많아 한번 당선되면 평생 직업이 될 수 있다.

2015년 처음으로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를 하면서 3선 연임 제한을 두고 선거법을 강화했으나 임기제한이 없는 비상임조합장이 증가하는 등 꼼수가 늘고 있다.

공직선거는 주민소환제라는 통제수단이라도 있지만 조합장은 한번 당선되면 제어할 수단이 없다.

공직선거 후보자보다 조합장을 더 잘 뽑아야 하는 이유다. 그러나 현실은 후보자는 조합원을, 조합원은 후보자를 모르는 캄캄히 선거라 누가 능력 있는 후보자인지 잘 몰라 답답하다.
이래서 “조합장이 뭐 길래”라는 말이 나왔다.

하지만 조합장은 그리 간단한 자리가 아니다. 권한은 권력 수준이다. 조합별로 편차는 있으나 연간 1억원 내외의 연봉을 받고 조합장이 이런저런 명목으로 주무를 수 있는 돈도 적지 않다.

직원의 임면권은 더 힘이 있는 무기다. 직원 채용에 있어 자기 사람 심기는 이미 관행화된 지 오래 이고 주민들에게 선심도 쓰고 인지도도 올려  유력 인물과 연결되기 쉬워 향후 정치권 진출 등의 발판으로 삼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여기에다 2년에 한 번 이뤄지는 중앙회의 감사 외엔 기관 감사를 받지 않는 감시의 사각지대이다 보니 웬만한 기관장보다 낫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조합을 ‘사기업’처럼 운영하는 곳도 적지 않다.
농산물 판매는 뒷전이고 ‘돈장사’(신용 사업)에만 열을 올리는 조합원이 아니라 임직원을 위한 조직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조합원에 대한 ‘갑질’이 도를 넘어서고 있으니 조합 운영이 제대로 될 리 없다. 수많은 지역 조합이 부실화 상태로 통폐합 대상이다.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