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은 나무를 아끼고 잘 가꾸도록 권장하기 위해 1949년 지정됐다. 당시 이승만 정부가 4월 5일을 식목일로 결정한 이유는 계절적으로 나무가 뿌리를 내리는 데 최적기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날이 음력으로 신라 문무왕이 삼국통일은 완수한 날이고 조선 성종이 선농단에서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낸 날이라고 하지만 식목과 직접 관계는 적다고 봐야할 것이다.

결국 나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땅속의 온도가 관건이다.

기상청 등에 따르면 식목일이 시작된 1940년대에 비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땅속 5cm의 동도도 4~5도씨 정도 상승했다. 이러다보니 식목일을 앞당기자는 주장이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식목일 변경 문제는 2009년 이명박 정부 때 국무회의에 상정돼 논의됐다.

그러나 70년 넘게 이어온 국가기념일이라는 상징성과 식목일 변경에 따른 홍보비용 지출 등 행정력 낭비가 초래될 수 있다며 현행대로 유지했다.

다만 전국을 기후대별 난대(제주·남부해안, 2월 21일∼3월 31일), 온대 남부(전남·경남, 3월 1일∼4월 10일), 온대 중부(전북·경북·충청, 3월 11일∼4월 20일), 온대 북부(경기·강원, 3월 21일∼4월 30일) 등 4개 권역으로 나누고 나무 심는 시기를 조정했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도 언 땅이 풀리고 나서 새싹이 돋을 때까지를 식목 적기로 보고 나무심기를 권고한다.

수목전문가들도 “4월에 들어서면 이미 수분이 올라오기 시작해 뿌리 활착률이 떨어지고 생장이 더딜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고 조언한다.

결국 식목일이 공휴일도 아니다보니 전국 방방곡곡에서 동시에 식목행사를 치루는 모습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기관들도 날씨에 맞춰 식목행사를 앞당기는 곳이 많아진 상황이다.

하지만 여전히 나무심기는 범국가적인 운동으로 추진해야할 필요가 있다.

녹화가 많이 되어서 홍수피해는 줄어들었다고 하지만 경제수림이 적고 생태적인 부분과 복지개념까지 접목한 새로운 산림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산림청에 따르면 나무 한 그루 당 연간 35.7g(에스프레소 한잔)에 해당하는 만큼의 미세먼지를 흡수한다. 도시 숲은 여름 한낮 평균기온을 3~7도 낮춰주고 평균습도는 9~23% 높여준다. 나무 한 그루가 공기청정기, 에어컨 역할을 하는 것이다.

심지어 버즘나무, 느티나무 등 큰 나무는 성인 7명이 1년간 필요로 하는 산소를 배출한다. 또한 연간 배출되는 2.5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

식목 행사일은 앞당기고 기존 식목일은 나무의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물과 퇴비를 공급하는 날로 삼을 수 있도록 국가정책이 변화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보길 바란다.
 
요즘 대내외적으로 문제로 암울하기만 하지만 이럴수록 아이들의 손을 맞잡고 미래를 위한 나무를 심으며 희망을 가꿔보면 좋겠다.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