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사려 우체국 ·농협 하나로마트 장사진

 

 

담양우체국에 근무하는 A씨는 불효자가 된 듯하다.

“자식이 우체국에 다니면 뭐하냐? 80이 넘어 거동이 불편한 어머니로부터 동네 우체국에서 판매하는 마스크를 사기위해 줄을 서고 있다”는 전화를 받고 나서 마음이 불편하다.

또 A씨는 지인들로부터 마스크를 구해달라는 청탁을 뿌리치기 힘들다.

“담양우체국은 약국이나 하나로마트에서 판매하고 있으니 마스크를 판매하지 않는다고 해도 믿는 이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면 단위 우체국에서 구입하라고 안내하면 핑퐁 친다는 야유가 되돌아오는 것도 불편하기만 하다”고 어려움을 토로한다.

월산우체국에 근무하는 B씨는 “마스크 판매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판매개시 시각을 엄격하게 준수해 번호표를 배부하고 1인당 5매를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보다는 처음 본 외지인들이 자가용을 이용해 얌체처럼 우선 구입하고 있는 현상이 공정하지는 않다” 며 “지자체와 협력하여 우선 대상자에 대한 선별 공급 후 일반인에게 판매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농협에 근무하는 이들도 좌불안석이다.

담양농협의 경우 지난 2일 농협본점, 용면지점 각각 200매, 추성로지점 100매 등 500매가 배당되어 판매에 나선지 수분 만에 완판했다.

이 과정에서 ‘어제 사간 사람은 배제해야 한다’는 여론과 ‘어제 사갔지만 부족해서 오늘 사러 왔는데 배제 할 수 있다는 법이 있냐’고 따지는 의견이 비등해 가운데서 농협직원들은 동네북 신세가 되야 했다.

이처럼 코로나19 기승으로 불거진 ‘마스크 대란’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우체국과 농협하나로마트 등 공적 판매처에 물량을 공급한 지 수일이 지났지만 제품 구하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특별공급지역으로 지정된 대구·경북은 마스크 공적 지원이 대부분 진행됐고 다른 지역은 현지 유통 채널 상황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마스크에 대한 갈증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공적 판매처인 곡성과 담양 우체국과 농협 하나로마트에는 수많은 인파가 몰렸지만 끝까지 구입 못한 주민들의 항의는 빗발쳤다.

그렇다면 마스크의 시중 공급은 왜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일까?

정부에선 공장에서 배송처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시차와 수급처 상황에 따라 물량을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실제 정부의 하루 공급목표량 중 20%인 100만장은 대구·경북 특별관리지역으로 투입되고 나머지 400만장이 기타 지역으로 지급된다.

전국 약국에 240만장, 의료기관 50만장, 공영홈쇼핑·중소기업유통센터에 10만장, 하나로마트·우체국에 각 50만장씩 공급된다.

의학계에서 권장한 1회용 마스크의 최대 사용기간인 이틀을 감안하고 국민 절반이 마스크를 쓴다고 가정하면 최소 1일 1250만개가 필요로 하다.

반면 하루에 내수로 풀릴 수 있는 최대 양은 1170만개(하루 생산량 1300만개에서 최대 수출 허용치 130만개를 뺀 수치)이어서, 매일 80만개씩 모자라는 셈이다.

여기에 불안감에 예비용 마스크를 확보하려는 가수요까지 폭발하면서 마스크 품귀 현상은 계속되고 있으며 얌체 상술에 눈이 먼 도매상들의 사재기에 따른 부작용 역시 이번 마스크 대란의 배경이다.

군 관계자는 “정부도 원활한 마스크 공급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주민들도 어려울 때 고통을 나누는 미덕을 발휘해 코로나19에 취약한 이들부터 공급 될 수 있도록 양보하는 성숙한 시민정신을 발휘해 달라”고 당부했다./양상용 記者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