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요양 급식사업 점검
“정착단계 진입 VS 체질 강화해야” 평가 엇갈려
한해 급식비로만 20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방문요양 급식사업.
지역민의 많은 우려와 기대 속에 시행된 사업으로 사업 초기 갖가지 문제점을 발생시켰으나 “정착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달 10일부터 17일까지 ‘방문요양 급식 및 여가프로그램 운영실태 지도·점검’이 있었다.
담양군에 의하면 이번 점검은 담양군내 52개 급식경로당과 여가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7곳에 대해 실시했으며 그 결과 총 59개소 중 7개소 7건의 시정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담양군 관계자는 “이번 지도·점검 결과 대체적으로 급식경로당이 정착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일부 경로당을 제외하고는 매우 발전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남면 정곡리와 창평면 장전리, 대전면 중옥리의 경우를 예로 들며 “이 세 곳의 급식사업소는 마을 주민들의 참여율이 높고 공동체 의식이 강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는 자체조달하고 나머지 재료만을 구입해 급식의 질이 높아진 데다 그에 대한 차익으로 급식대상이 아닌 마을 주민들도 함께 식사를 할 수 있게 해 훈훈한 마을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점검 결과 몇몇 문제점은 아직까지 나타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담양읍 A경로당의 경우 급식도우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운영이 되지 않자 일반식당에 임의대로 위탁해 도시락을 배달하게 하는 등 편법운영으로 시정조치를 받았으며 영수증 누락 등 지출내역 관리부실이나 운영일지 기재부실의 문제점은 아직 남아있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이 주장하는 부실운영 사례도 눈여겨 볼만 하다.
담양읍 한 주민은 “처음엔 급식대상이 아닌 사람이 와서 함께 밥을 먹어도 같이 나눠먹는 맛으로 저지하지 않았는데, 이제는 문제가 장기화 되면서 급식대상이 아닌 사람들 때문에 급식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어 위화감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주민 B씨는 “나도 몇 번 같이 먹기는 했으나 요즘에 밥 못 먹고 사는 사람도 없는데 돈을 너무 헤프게 쓰는 것 같고 꼭 밥 주는 것 말고도 노인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많은 것인데 먹고 없애는 것에 치중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급식도우미 경험이 있는 주민 C씨는 “식자재를 구입하지 않고 따로 구해 급식비를 아껴 그 돈으로 마을 여행경비에 보탠다든가 다른 일에 사용한 적이 있으며, 정확한 영수증 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영수증 처리가 어려운 소규모 가게나 영세 상인으로부터는 물건을 사고 싶어도 못 사고 대부분 광주의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적이 많다”고 말했다. /서영준 記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