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인구 4만8000선 무너질라 "
입학철 脫러시, 인구 증가책 효과 없어
담양군의 각종 인구 증가 시책에도 불구, 오히려 지역 인구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획기적인 인구 증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담양군에 따르면 6일 현재 주민등록인구는 4만8155명으로 지난해 정신적 마지노선인 5만명이 붕괴된데 이어 파죽지세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집계 돼 자칫 4만8000 선 돌파는 시간문제라는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군은 수년전부터 인구 5만선을 지키기 위해 관외에 주민등록을 둔 남도대학생과 군인, 기관단체 직원 및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인구증가 시책을 실시해 오고 있으나 결국 지역 인구는 5만 이하로 줄어 든데다 좀체 인구 증가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인구 증가 시책은 단기 처방은 될지언정 중·장기적인 안목에서는 실효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여론이다.
주민등록 옮기기에 앞장서야 할 공무원들이 자녀 교육이나 생활근거지 등을 이유로 주민등록 이전을 꺼리는데다 대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지역을 떠나고 있고 군인들은 전·출입이 잦아 인구 증가 효과가 지속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최악의 국내 경제와 맞물려 지역경제마저 장기적인 침체에서 좀체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과거 지역 인구 감소의 최대 원인이었던 자녀 교육보다는 최근에는 경제적 이유로 타 지역으로 이주를 계획하고 있는 주민들마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지역의 출산율 감소 또한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군에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출산 가정에 대한 각종 지원 및 출산율 증가 시책을 쏟아내고 있으나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군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민 김씨는 “다른 지역에 비해 품격 있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교육과 문화 시설 등을 갖춘다면 오지 말라 해도 담양으로 모여들 것이다” 며 “군이 추진하는 인구증가 시책은 ‘언발 오줌 누는 식'의 미봉책에 불과하고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고 말했다.
주민 최씨도 “공무원들에게만 인구 증가의 짐을 떠안기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 금융기관 및 사회단체장을 비롯 지도층에 있는 인사들부터 모범이 보여야 많은 주민들의 호응을 얻어 낼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매년 연초가 되면 자녀들의 대도시 학교 진학 등으로 일시적으로 지역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기업 유치 등이 가시화 될 경우 지역인구는 늘어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종대 記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