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나락 값을 보장하라”

한농연담양연합회, 쌀값 보장 촉구 나서

2009-10-07     정종대 기자

"뉴스에서 땅값이 10년 전보다 2∼3배, 비료와 농약 가격은 3배나 올랐어도 쌀값은 변함없다. 풍년이 들었지만 오히려 마음이 아프고 내년에는 본전도 못 찾는 벼농사를 그만둬야 겠다"

"비료값, 농약값, 인건비 주고 나면 남는 것이 없어. 주말이면 자식들에게 농사일을 거들게 했지만 쌀값 하락으로 아무것도 해주지 못해 추석을 맞아 찾아온 자식들을 볼 면목이 없어 미안할 뿐이다. 벼논을 갈아엎는 농민의 심정을 알 것 같다"

"며칠 전에 이명박 대통령이 정부가 수매를 늘린다며 믿으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정부의 수급조절 잘못으로 인해 쌀값이 폭락해 더 믿을 수가 없다. 지난해 중단된 대북 쌀 지원 재개와 법제화 등을 비롯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이 말은 지금 농촌에선 옛말이 돼 버렸다. 해를 거듭하면서 물가는 상승하지만, 쌀값은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태풍도 없어 지난해에 이어 풍년이지만, 추석 들녘은 쌀값 폭락을 걱정하는 농민들의 한숨으로 얼룩져 있다.

지난해 40㎏ 한 포대를 기준으로 5만4000원가량 하던 산지 벼 가격이 올해는 1만 원가량 하락한 4만4000원으로 폭락했다. 게다가 일부 농협이 3만5000원∼4만5000원 선에서 선지급금을 책정해 쌀값이 더 하락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쌀 값 폭락을 더 이상 두고 보지 못한 한농연담양군연합회(회장 김동중)은 9일 나락 값 보장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나섰다.(사진)


김동중 회장은 “2005년 이후 4년 만에 역계절진폭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비축미 매입을 보다 확대하여 쌀값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며 “비축미 물량을 2005년도 수준인 58만톤 정도로 매입하여 가격 왜곡을 조기에 차단하고 쌀 대북지원을 재개하여 수요 공급을 조절함과 동시에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주춧돌이 되는 것을 각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현재 담양읍농협은 우선지급금으로 4만5000원, 대전농협 4만원, 기타농협은 3만5000원선에서 우선지급금을 정했다. 농협의 자체수매 잠정가격이 시중 쌀값 형성에 큰 역할을 하는 만큼 최소 5만3040원을 수매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농업과 농촌을 지키기 위해 한농연은 △대형마트 쌀 저가판매 감시활동 전개 △생산비 자체 분석을 통한 현장 요구가격 수립 △RPC 가격협의 및 조합장 면담 △쌀 직불금 지원을 위한 지자체의 자체예산 수립을 위한 투쟁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겠다고 천명했다.

특히 △ 40kg 한가마당 최소 5만3040원에 농협 수매 △ 공공비축미 물량 58만톤으로 확대 △변동직불금 목표가격 17만83원을 최저 생산비 19만2680원으로 상향 조정 △변동직불금 지급을 위한 전국평균가격을 지역평균가격으로 변경 △대북지원 즉각 재개 △휴경농지에 보조금 지원하는 쌀 생산 조정제 도입을 요구했다./정종대 記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