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담양군 적극적인 인구대응정책 필요하다

 이 규 현(전라남도의회 의원) 

2025-08-20     담양곡성타임스

얼마 전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 한 「2025년 2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자료를 보면 광주광역시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2,854명 순유출을 기록한 반면, 전남은 672명이 순유입되는 증가세를 보였다.

광주·전남이 분리된 이후 ‘이촌향도(移村向都)’의 현상을 보이며 농촌 인구가 도시로 몰리는 현상을 보였지만 이번 통계에서는 비록 소폭이지만 이도향촌(移都向村)의 현상, 즉 도시에서 농촌으로 향하는 반전의 흐름이 나타났다는 것이 큰 특징이었다.

이를 시·군별로 살펴보면 무안(+692명), 영광(+462명), 장성(+439명), 신안(+416명) 등 전남의 13개 지역은 인구가 늘었고 반면 목포, 여수, 순천 대도시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여기서 눈에 띄는 점은, 광주 인접 도시 중 교통과 정주여건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자타가 공인하고 평가를 받는 담양군의 인구는 유입보다 유출이 더 많다는 점이다. 담양군의 통계를 보면 최근 년도에 들어 와 전입보다 전출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2021년도에 전입인구는 5,997명이었지만 전출인구는 5,539명으로 전입이 더 많았다. 그러나 2024년에는 전입이 3,966명인데 반하여 전출은 4,279명으로 전출인구가 더 많아졌고 이러한 흐름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담양은 광주와 가장 가까운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고, 청정 자연환경, 높은 생활 만족도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도 최근 들어 인구 유입이 줄어들고 늘어나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여러 분석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담양군 인구 정책이 다소 안이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고 본다. 

담양은 생활인구 면에서는 이미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기준, 담양은 전남 인구감소지역 중 3분기 연속 생활인구 1위를 기록했다. 평균 생활인구는 약 39만8천 명, 이 중 체류인구만 35만2천여 명으로 등록인구의 7.7배에 달한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스쳐 가는 인구’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담양에서 일하고 소비는 다른 지역에서 하는 경우도 많아 지역 정주 기반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정주인구를 늘리기 위한 핵심 정책, 즉 담양군 주택 정책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담양에는 삼다리 800세대, 남산리 250세대, 고서 700세대, 대덕 전원주택단지 300세대, 전남개발공사가 추진하는 고서 4,000세대 등 모두 6~7천 세대 규모의 주택 사업이 진행 중 이다. 이 사업들이 정상적으로 추진 된다면 최소 1만 명 이상 인구 유입이 가능한 절호 기회인데 일부 사업장을 제외하고는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여러 가지 사정들이 있겠지만 담양군의 적극적인 행정 추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단순히 민간이 시행하는 주택사업으로만 바라 볼 문제가 아니라 담양의 인구정책은 물론 담양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사업으로 인식하고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듯이 담양이 가진 좋은 조건도, 생활인구 1위라는 성과도, 정주 인구의 증가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다. 담양이 무안, 신안, 영광, 장성보다 못할 이유가 없다. 담양이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잘 활용하고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면 충분히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본다. 담양의 미래는 어떻게 보면 인구 정책에 달려 있다. 생활인구를 정주인구로 전환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실질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인구 5만의 쾌적한 전원도시 담양은 결코 헛된 꿈이 아니다. 우리들의 적극적인 노력 여하에 달려있다. 담양군의 더욱 강력한 결단과 행동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