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생태, 곡성만의 교육프로그램에 반해 결심

곡성군이 서울에서 유학을 온 아이들로 분주해졌다.

얼마 전 농촌유학을 위해 서울에 살던 4가족 8명이 곡성군에 내려왔다. 서울시교육청과 전남도교육청이 협약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농촌유학 프로그램 참가자들이다.

이들은 곡성군에서 제공한 주거공간에서 생활하게 된다. 그리고 각 가정의 아이들은 전학 절차를 밟아 최소 6개월 이상 곡성군에서 학교를 다니게 된다.

특이한 점은 농촌유학생들이 곡성군에서도 중심지인 읍내가 아니라 삼기면과 오산면에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아이들도 지역의 작은학교인 삼기초등학교와 오산초등학교에서 공부한다. 보다 자율적인 교육환경에서 자연과 생태를 벗하며 감수성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 작은학교를 선택한 이유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과 삶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에는 모두가 시골에서 도시로 유학을 갔다면 이제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유학을 가는 사람이 늘고 있다. 획일화를 벗어나 다양성을 추구하고, 어디에 사느냐보다 어떻게 사느냐를 중시하는 흐름이 생겨난 것이다.

농촌유학을 통해 곡성군에 내려오게 된 학부모 이은미 씨는 “코로나19로 인해 아이가 작년에 학교를 많이 나가지 못했다. 청정하고 깨끗한 자연환경에서 아이들을 키워보고 싶어 내려오게 됐다.”고 말했다.

곡성군 오산초에 자녀를 전학시킨 학부모는 서지연 씨의 생각도 비슷했다. 서 씨는 “평소 교육에 관심이 많다. 자연환경뿐 아니라 숲 교육 등 곡성군에서 운영 중인 교육 프로그램에도 눈길이 갔다. 자연과 생태 속에서 이루어지는 곡성만의 독특한 교육이 아이의 정서는 물론 앞으로의 시대가 요구하는 능력들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실제로 곡성군은 2018년도부터 교육을 핵심 시책으로 삼고 활발하게 교육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지자체와 교육청, 민간이 힘을 합쳐 미래교육재단을 설립하기도 했다. 학교가 살아야 마을이 살고, 마을이 살아야 지역이 살 수 있다는 생각이 그 출발이었다.

이번 농촌유학 이전에도 곡성군은 <섬진강 맑은물따라 농촌유학캠프>를 4차례 진행한 바 있다. 사람책과 함께하는 역사문화탐방, 작은학교 설명회, 각종 농촌체험거리 등 프로그램이 알차다고 입소문 나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서울시 교육청과 전남 교육청이 농촌유학 대상지 중 하나로 곡성군을 선정한 것도 곡성군이 가진 노하우와 의지 때문이다.

앞으로도 곡성군은 미래교육재단을 통해 농촌유학의 대상을 서울 뿐 아니라 인근 도시 지역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가족공감 농촌유학 체험을 역사, 문화, 생태 등을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내려오고 싶어도 살 곳이 부족해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은 모듈러 주택, 빈집 리모델링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곡성군 미래교육재단 관계자는 “학교는 교육과 문화의 중심이다. 농촌유학을 통해 도시의 가족들이 곡성을 제2의 고향으로 삼아 아이와 함께 행복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고 밝혔다. /장명국 記者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