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해외 연수 축소에 여행사 속앓이
해외연수 취소에 위약금 요구도 못하고 고민
환율 급등으로 인한 사상 최악의 경제난 속에서 자치단체들의 공무원 해외 연수 축소 방침이 잇따르자 관내 여행업계들이 말 못할 속앓이를 하고 있다.
당초 계획돼 있던 공무원들의 해외 연수가 일정에 임박해 취소되면서 계약상 이미 예약해 놓은 항공기와 호텔 경비 등에 따른 위약금 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경기가 호전되면 자치단체 공무원 해외 연수가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돼 법적으로만 따지고 들어가기가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담양군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국제 금융위기에 따른 환율 급등으로 인해 경제난이 심화되자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해외 연수 등을 최대한 자제토록 하라는 훈령을 내려보냈다.
이에 따라 군은 연초부터 계획했던 공무원들의 해외 배낭 연수 계획을 전격 취소했다.
정부의 훈령도 내려왔지만 경제난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직사회가 경제 위기 극복에 솔선수범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점이 해외 연수 계획 취소의 직접적인 이유다.
이와 관련 공무원들의 해외 연수를 맡았던 여행사들은 일방적인 일정 취소로 인해 경영상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현행 소비자기본법 분쟁 해결 기준의 해외여행에 대한 계약 해지 조항에는 출발 20일 이전에 계약을 취소할 경우 전액 환불이 가능하며 10일 이내 취소시는 총 경비의 5%, 8일 이내는 10%, 1일 이내는 20%, 출발 당일 취소시는 50%의 위약금을 내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 약자인 여행사들은 위약금을 받는다 해도 항공권 취소 및 기관 섭외비, 호텔 취소 등으로 인해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여행사 관계자는 “경제난 극복 차원에서 자치단체들이 해외 연수를 잇따라 취소하면서 그 불똥이 환율 급등으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행업계로 튀고 있어 적절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며 “빨리 경제가 안정되어 눈치 안보고 해외를 나가는 날이 오기만을 학수고대 하고 있다”고 말했다./정종대 記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