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 적정 수매 비용 지원 요구
농가에서 생산한 벼 수매시 지자체에서도 적정 수준의 수매비용을 지원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벼 재배농가와 농협 등에 따르면 농협의 경우 조합별로 농가소득보전 일환으로 공공비축미를 제외하고 수매를 원하는 벼에 대해 시중가격보다 포대당 1천∼5천원까지 높은 가격에 수매, 지원해 주고 있다.
이같은 수매방식은 사실상 쌀값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에 대해 사실상 지원금을 제공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담양 무정농협의 경우 조합원이 수매를 위해 내놓은 벼를 해마다 벼 40㎏ 포대당 1∼3천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면서 전량 수매해 주어 농가에 보탬을 주고 있다.
또한 담양 월산농협도 시중 벼 수매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결정을 책정한 후 수매에 나설 계획이며 시세차액을 보전할 계획이다.
특히 농협 RPC가 없는 조합의 경우 조합별로 1∼5천원까지 농가소득 보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장려금 명목으로 높은 가격에 벼 수매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농협 재정규모와 조합장의 사업 추진 의지에 따라 지원액이 각양각색이어서 조합원별로 차액이 발생함에 따라 형평성 제고차원에서 벼 재배농가들의 지원을 위해선 이제 지자체에서 예산을 편성해 적극적으로 지원사업을 펼쳐야 한다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농업관련 한 단체 관계자 A씨는 “현재 농협을 중심으로 수매가를 지원하고 있으나 일부 조합의 조합원은 전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지자체에서 이제는 농민들의 어려운 실정을 반영해야 할 때가 된 만큼 별도 예산을 편성해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양상용 記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