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을 돼지고기 등급제







국내산 돼지고기의 품질 고급화를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돼지고기 육질등급판정제도’가 맛과 관련성이 낮고 특정 부위 등급을 전체 등급으로 판정하는 등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담양군과 곡성군에 따르면 농식품부가 지난 2007년 7월부터 돼지고기도 한우처럼 소비자 입장에서 좋은 고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육질에 따라 1플러스 등급에서 3등급까지 4단계의 등급을 정해 도축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 적용토록 했다.


하지만 이 제도가 돼지고기의 맛을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는 지적이다.

돼지고기는 종돈과 사료 및 사양관리 방법에 따라 다른 맛을 낼 수 있는데도 외관적인 육질 평가에 의존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것.

돼지 1마리에서 생산되는 부위와 근육이 많고 기능과 육질이 각기 다르지만 특정 부위의 등급 판정 결과를 전체 등급으로 판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한우와 달리 개체수가 많다 보니 1두당 등급판정 시간이 빨라 형식적인 등급 판정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돼지고기의 육질을 제대로 판정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근거를 충분히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육질의 정확한 판결을 위한 온도체 판정을 냉도체 판정으로 전환하는데 따른 육가공업체의 추가적인 비용 지출도 육질등급판정제도의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

이에 고기 맛에 영향을 미치는 종돈과 사료, 사양관리 등을 판단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적용, 육질 등급에 따른 가격 차별화 등 돼지고기의 품질 고급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돼지고기 식육문화에 맞는 품질의 요소를 찾아내 이를 바탕으로 등급제가 적용돼야 한다”며 “육질 차이가 별반 차이가 없는 돼지고기의 등급제를 2단계 정도로 단순화시키고 돼지를 생산하는 농가 역시 육질을 개선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양상용 記者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