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저의에 촉각 세워

내년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담양군수 출마 예상자에 대한 출처 불명의 여론조사가 실시돼 당사자들은 물론 주민들이 여론조사 저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실시된 ARS 전화 여론조사는 내년 군수 선거 예상자들에 대한 후보자 인지도 형식으로 조사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종 6명에 대한 조사만 한 것으로 여론조사 전화를 받은 주민들로부터 확인됐다.

이번 여론조사는 한 예상 후보자가 자신의 선거 출마를 위한 기본 조사였다는 설에서부터 민주당 경선을 위해 사전에 철저히 준비한 여론조사였다는 설이 나돌면서 선거를 준비하는 당사자와 측근들이 여론조사 결론을 수집키 위해 열띤 첩보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여론조사 의뢰자가 누구인지 여론조사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에 대해서는 가설로 나돌았을 뿐 정확인 실체를 확인 하는 데는 실패했다.

이번 여론조사 대상에는 현직 송범근 도의원을 비롯 유창종 전.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장, 서종한 전. 농협군지부장, 이정희 전. 광주지방변호사회장, 박영준 전. 익산지방국토관리청장, 최형식 전. 군수이며 군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강종문 도의원과 최화삼 의원이 조사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대해 한 예상 후보자 측근은 "자신의 가치를 띄우려는 얄팎한 계산이 깔려있고, 조사대상도 잘못된 것 같다" 며 "자신의 입지가 흔들린 한 예상 출마자가 자신의 입지를 세우기 위해 의뢰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누구인지 알 것 같다" 면서 "A 후보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여론조사를 빙자한 선거방법으로 악용하고 있는 것 같다. 특히 설문조사를 빙자한 주민들의 투표 심리 파악은 물론 자신을 지지하는 이들의 충성도를 검사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이같은 조기 여론조사는 지역을 또 다시 조기 선거판으로 끌어내 지역민들의 갈등을 부추킬 우려가 있다" 며 "지역을 생각하는 예상 후보자라면 조기 선거 과열이 지역민들에게 어떤 피해를 입힐 수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선관위 관계자는 “후보자가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하여 자신의 지지도를 조사, 활용하는 것 자체가 선거법에 위배되는 것은 아니지만 타 후보들도 이와같은 방법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할 경우, 선거가 조기과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정종대 記者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