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없이 呼價만 높아


담양 땅값이 거래는 없이 가격만 계속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중개업자조차 이런 현상을 걱정하며 일부 부동산중개업자와 지주들의 담합이 부동산 거품을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더욱이 주민들 대부분은 담양땅이 광주땅 보다 비싸다는 푸념을 늘어놓으며 이는 지역발전을 막는 병폐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무슨 논이 60만원씩이나 하는지 모르겠어요, 실제 그 가격에 거래된 적도 없고 개발 붐이 일어난 것도 아닌데 정말 이해가 안 됩니다.”
담양읍 주민 A씨는 “이는 모두 투기세력이 장난치고 간 때문”이라며 “정작 거품만 잔뜩 껴 거래는 하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수북면 B씨도 “이 지역에 살면서도 이렇게까지 땅 가격이 높은 이유를 모르겠다”며 “거래가 활발하고 개발도 많이 이뤄지면 시장 원리상 그런가보구나 하고 이해하겠는데 무슨 일인지 모르겠다”며 혀를 내둘렀다.

수북면은 현재 청소년국제수련원 방향의 도로 주변 시세가 최저 60만원을 호가하고 있는 상황이나 거래는 거의 없는 상태다.

담양읍 삼다리 주민에 의하면 “이곳도 공장들은 어려워 문 닫고 있는 판에 주변 땅만 아무런 이유 없이 열 배 이상 뛰었다”며 “주변에 모텔이 들어서자 투기세력이 들어서 ‘알박기’ 한 땅이 있는가 하면 지주들끼리 눈치만 보며 지가를 상승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한 부동산중개업자는 “정작 담양에 중요한 부동산은 순창이나 광주에서 유입되는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아파트인데 현재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인구유입이 되지 않고 있으며 전원주택이나 개발을 원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투기세력들이 많아 괜히 땅값만 올려놓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담양에서 시세가 가장 높은 터미널부근은 평당 600~700만 원 선에 가격만 형성돼 있고 거래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담양읍 외곽의 공업지구 등도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호가만 높지 실제 거래는 전무한 편이다”고 말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그는 “높은 가격을 받으려는 지주 입장과 수수료를 많이 챙기려는 부동산중개업자와의 이익추구선이 일치하기 때문에 그러하다”며 “허위개발정보를 흘리고 부동산중개업자들끼리 제3자를 내세워 사고팔며 가격을 올리는 방법도 시도된 적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요즘은 대부분 땅주인이 높은 가격선을 정해놓고 그 가격에 거래를 성사시키면 부동산업자에게 오른 가격만큼 리베이트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위 ‘작전’하기가 쉽지 않으며 경기가 워낙 나빠 웬만한 투기세력들도 움직이지를 않는다”고 말했다.

현재 담양의 전반적 부동산 상황은 일반주택은 하향세, 논은 보합, 아파트는 공급 부족으로 약간 오름세이다.

광주 사는 신모씨는 “맘에 드는 땅이 있어서 알아보니 부동산업자 하는 말이 ‘얼마 전에 누가 이 땅을 50만원에 사려고 했는데 주인이 60만원 아니면 안 판다고 해서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다’고 했는데 자세히 알아보니 순전히 거짓말뿐이었다”며 “담양 현지 부동산업자에 외지 부동산업자들까지 가세해 이렇게 땅값가지고 장난치는데 담양이 어떻게 발전하겠냐”며 섭섭한 감정을 감추지 않았다.

부동산중개인 P씨는 “읍 주변 시세는 상승세이고 시골 논도 보합세이므로 이를 분석하면 공급보다는 수요가 많다는 증거”라며 “담양은 교통요지로 특수성이 있어 부동산 가치가 높아 가격이 높게 책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주민들은 “담양에서 실제 필요한 아파트는 공급이 딸리므로 가격이 유지된다 하더라도 농공단지가 25만 원 선인데 공장용지로 쓸 일반 논이 60만원이라는 것은 이해가 안 되는 일로 부동산업자나 지주들 욕심 때문에 담양이 발전을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입을 모으고 있다. /서영준 記者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