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명선거 정착 및 불법 선거 감시에 올인
6·2 지방선거 열기가 고조되면서 덩달아 쉴 새 없이 바빠지는 이들이 있다.
불법·부정 선거 감시 활동을 위해 발족된 선거부정감시단이 그들이다.
지난 23일 월산초교 강당에서 오는 30일 치러질 월산농협장 선거 후보자들의 공개토론회가 열려 조합원과 주민들이 대거 참석한 것을 비롯 6.2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각축을 벌이고 있는 최형식 前 담양군수와 유창종 前 담양부군수, 강종문 前 도의원과 무소속 김용주 前 경제과장을 비롯, 도의원 선거 예비후보와 군의원 선거 예비후보들이 가세해 마치 선거철 유세현장을 방불케 했다.
이들은 행사가 시작되기 1시간 전부터 행사장 입구에서 조합원들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악수로 인사를 나누며 자신들을 알리기에 바빴다.
특히 일부 예비후보 등록자들은 자신의 이름과 구호가 새겨진 조끼와 어깨띠를 두르고 행사장에 입장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명함을 나눠주고 지지를 호소해 행사장이 예비후보자들의 홍보장소로 둔갑한 느낌이 들 정도.
그러나 예비 후보자들 못지 않게 열심히 일하고 있는 이들이 있었다.
미리 현장에 도착한 부정선거감시단원들은 현장 상황을 빠짐없이 메모하기 시작했고 다른 한명은 사진 촬영 또 다른 한 명은 후보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확인하기 위해 쉴 새 없이 눈을 번뜩였다.(사진)
이처럼 감시단의 하루는 24시간도 부족하다. 선거 관련 제보가 들어오면 선거관리위원회 직원과 동행해 즉시 현장으로 나간다. 평소 휴대전화를 항상 손에 쥐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은 평소 선거법 관련 공부를 하고 교육을 받으며 시험까지 보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애매한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현행 선거법상 선거사무소 개소식에서 1인당 3000원을 초과하는 다과류의 음식물을 제공할 경우 기부행위 제한규정에 위반되지만 실제 마련된 음식물마다 가격을 책정해 3000원 미만을 계산하기 어려운 상황도 있다.
또 김밥, 음료, 다과류 등의 음식물은 허용이 되지만 많은 양이 쌓여있으면 안되며 김치가 들어가면 식사로 간주되기 때문에 선거법에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한 감시 단원은 “선거법이 어려운데다 너무 경우의 수가 많아 애매할 때도 있다. 그럴 때는 선관위 직원에게 문의를 한 후 함께 현장을 돌아보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무조건 불법선거 감시를 위해서만 뛰어다니는 것은 아니다. 위법사안을 찾아내기 전에 선관위 안내문 및 공문을 발송하는 등 충분한 안내를 하고 있다.
감시단원 A씨는 “아침부터 일이 끝날 때까지 선거운동을 지켜본다. 과거에는 향응을 제공해도 된다는 인식이 최근 많이 바뀐 것을 느낀다”면서 “깨끗한 선거를 만든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일을 하다 보니 피곤한 줄도 모르겠다. 모든 감시단이 노력해서 불법선거를 근절토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정종대 記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