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紙, 김덕모 교수 초청 사별연수 실시

본지는 지난달 27일 한국언론재단이 주관하는 사별연수를 실시했다.

이번 연수는 호남대 신방과 교수이자 한국언론중재위원회 광주중재부 위원인 김덕모 교수를 강사로 초빙해 지역언론의 사명과 미디어 윤리/법제를 연구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특히 언론중재위원회의 사건을 가지고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반론권과 피해구제, 손해배상 등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다루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지역언론으로서의 윤리’를 논한 김덕모 교수는 기초적 소양마저 부족한 사이비 언론의 폐해와 언론사 이익에 부합하기 위한 불법적이고 비윤리적 신문 운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역사회 공기(公器)로서의 언론의 사명과 사회적 책임성을 강조했다.

또 위법 사안마저 서슴없이 자행하는 ‘토착비리세력-지역언론-지자체장의 고리’를 끊는 도구로서의 지역언론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지역언론을 감시하는 지역언론의 기능’이야말로 현 시대의 요구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남지역 타 지역신문의 사례를 들어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자세와 독자에 대한 대응성의 구별점을 설명하고 높아지고 있는 언론에 대한 권리의식과 신문의 공정성과 균형성을 살펴보며 법적절차와 중재절차를 비교했다.

김덕모 교수는 “의제설정(Agenda Setting) 기능이야 말로 지역언론의 사명”이라고 밝히고 “기자는 일반인보다 더 강력한 도덕적 책무와 자율적 규제에 따른 고조된 윤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디어 간 상호비평의 책무와 비평의 활성화만이 지자체와 지역사회의 미래를 밝힐 수 있는 등불이다”며 강의 주제를 강조하고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은 언론 기능의 활성화와 비례한다”며 본지에 대한 ‘역동적 역할’을 당부했다. /서영준 記者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