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 이상의 지역개발로 ‘친환경 안전도시’ 실현”

소상공인 자영업자 공약과 참살이 복지공약의 연장선인 이번 경제공약은 농업과 문화 그리고 관광의 융산업화가 어우러지는 초대형 규모의 지역개발분야 정책공약으로 타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과 차별성이 부각되고 있다.
김 후보가 그려낸 지역개발 청사진은 권역 확대를 통한 도시 규모화, 인구유입증대, 지역경제 활력의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상상 이상의 지역개발과 친환경 안전도시로 탈바꿈 한다”는 목표가 바탕이 되고 있다.
김 후보는 “담양군은 그동안 어떤 정책에도 불구하고 실제 군민 경제는 좋아지지 않았다” 며 “이는 군민들이 체감으로 느낄 수 있는 경제정책이 추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그 대안으로 군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지역경제, 민생경제 중심의 경제정책을 추진하여 지역별 현황에 맞춘 권역별 균형발전 경제공약을 제시했다.
김 후보는 “생산도시화로 중소기업 공장유치 및 첨단물류기지 건설(담양읍, 수북, 대전), 광주광역시 광역권을 연계한 음식문화타운 조성(담양읍, 고서, 창평), 전원택지 힐링타운 조성으로 문화예술인촌 건립(남면, 대덕), 신재생에너지 활용으로 신수종 특화작물 재배(무정, 봉산, 월산, 담양군 전역), 죽녹원, 메타세콰이어길, 소쇄원 등 정자·가사문화와 추월산권을 잇는 명품 관광벨트화(담양읍, 용면, 고서, 창평)를 완성시키겠다”고 로드맵을 펼쳐보였다.
아울러 금성산성, 담양호, 추월산으로 이어지는 신복합관광벨트화(금성, 용면)를 만들겠다고 당찬 공약을 발표하는 등 CEO 출신 경제전문가 다운 구체적 실천방안을 내놓았다./선거 취재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