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윤(담양군 친환경농산유통과장)

우리나라는 단기간 내에 세계가 주목하는 경제성장을 이룩했지만, 고속성장의 이면에는 양극화 그늘이 깊어졌고 깊어진 양극화는 우리 사회를 위기로 내몰고 있다.

이러한 자본주의 자유시장경제의 양극화를 극복하고 우리사회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 빈곤을 해소하는 복지정책, 꾸준한 일자리, 사람과 노동의 가치, 협력과 연대, 지역 공동체의 복원, 그리고 이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선한 정신과 의지 등 사회적, 경제적 가치들을 주목해야 한다.

이와 함께 국가가 책임지는 복지와 자유시장 경제가 만들어내는 성장도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우리사회 공동체를 튼튼히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가와 시장만으로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자본주의와 시장경제를 채택한 나라들의 공통적인 경험으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온 게 사회적 기업이다.

사회적 기업이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며 혁신 또는 기업적 방식을 통해 취약계층 일자리, 사회 서비스 지원과 사회문제 해결 등에 초점을 맞춘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의 중간형태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은 1990년대 생산공동체 운동을 시작으로 민간 차원의 운동과 취약 계층을 위한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병행하며 발전했으나,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사회적기업은 관련 정책에 따라 고용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안전행정부의 마을기업,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어촌공동체회사, 보건복지부의 자활공동체, 지식경제부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등으로 나눠진다. 

사회적 기업이 발전하고 활성화 되는 듯한데, 무언가 체계적이지 않고 산만하다. 정부 각 부처가 개별법에 의해 육성되고 있는 이들을 통합해 종합적인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그 추진에 필요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방안을 수립하여야 하며 지방 자치단체서도 국가계획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육성시책들을 강구 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목적을 이해하고 사심 없이 일할 수 있는 젊고 유능한 리더가 재능을 기부하도록 다양한 교육과 현장학습 등이 마련돼야 한다.

이와 함께 원료 등의 구매과 제품 판매, 인력, 자금 조달이 용이해야 하며, 기업운영 측면에서는 지역의 일반기업, 지자체와 공공기관, 지역자활조직, 시민·종교단체, 농업관련 조직 등 지역조직과 함께 다른 사회적 기업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어촌의 사회적 기업들은 지역주민의 고용과 복지서비스 제공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등 사회적 목적 추구는 물론이고, 이를 위해 농업, 생산, 가공, 유통과 더불어 주거, 청소, 가사 간병, 돌봄, 보육, 교육, 문화, 연구, 재활용, 급식, 도시락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영세 서민과 고령 농업인 등으로 구성된 농어촌의 자치단체는 자본이나 노동이 외부에서 전량 유입되고 유출되는 실속 없는 기업 유치보다도 지속 가능하고 지역민이 다수 참여하는 사회적 기업 육성이 우선되어야 하고 중시되어야 한다.

지역민으로 잘 육성된 사회적 기업은 앞으로 농어촌 경제 활성화와 지역 공동체의 복원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농어촌사회 존립기반을 유지하는 튼튼한 버팀목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