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열린 리더십과 고향에 대한 애정에 찬사

 

상반기 기대작으로 손꼽히는 영화 ‘곡성(哭聲)’이 개봉함에 따라 전남의 한 지역도 주목받고 있다. 바로 곡성군이다. 전남 동북부 섬진강 자락에 위치한 인구 3만여의 작은 마을이 화제가 된 이유는 단지 영화 제목과 지역명 의 소리글자가 같아서만은 아니다. 지난 4월 한 지역 일간지에 보도된 고향에 대한 사랑과 자신감이 깃든 유근기 곡성군수(사진)의 칼럼이 화제의 중심이다.

유 군수의 칼럼이 네티즌들에 의해 서울대생들의 인터넷 커뮤니티인 ‘스누라이프(snulife)’와 국내 대표적 야구 커뮤니티인 ‘엠엘비파크(MLBPARK)’ 등에 잇따라 게재되면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

지역의 최대 행사인 곡성세계장미축제를 앞둔 시점에 영화 ‘곡성(哭聲)’이 지역의 이름 ‘곡성(谷城)’과 소리가 같아 지역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영화 ‘호스텔’로 인해서 동유럽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일부의 분석도 있던 터라 나홍진 영화 특유의 음산함, 기괴스러움으로 동네 이미지가 고착화되면 어쩌나 하는 우려는 당연한 것이었다.

이에 유근기 곡성군수는 한 지역일간지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영화 포스터에 한자를 병기하고, 영화 상영 후 ‘영화가 곡성 지역과 무관하다’는 자막을 내보내게 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혹시 있을 오해에 대비했음을 밝히고, 오히려 일본 아오모리 현의 ‘합격사과’를 예로 들며 긍정적 역발상으로 곡성을 알릴 수 있는 기회로 삼자고 역설했다.

“영화와 우리 지역이 무관하다고 아무리 주장한들 사람들의 머릿속 연상마저 막을 길은 없다. 우리의 낙천성을 믿고 역발상을 통해 우리 군의 대외적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우리 군으로서는 남는 장사다.”

네티즌들은 “꼬장꼬장한 시골군수가 영화 상영 반대 이야기를 하는 줄 알았는데 이렇게 세련된 방식으로 대응할 줄 몰랐다”며 유군수의 열린 리더십에 박수를 보냈다. 또한 군수의 칼럼이 고향에 대한 애정 어린 관찰이 없으면 불가능한 표현이라며 곡성에 꼭 가보고 싶다는 반응을 표출했다.

“초록잎의 발랄함과 갈맷빛 사철나무의 들뜨지 않는 엄정함에 감탄할 수 있다면 우리 곡성에 올 자격이 충분하다. 유리창에 낀 성에를 지워가며 그리웠던 사람들을 그려본 사람이라면 곡성에 와야 한다.”

“하늘 닮은 섬진강은 쉴 새 없이 흐르면서도 속도로써 우리를 재촉하지 않는다.”

유근기 곡성군수는 “뒤늦게 글이 화제가 되어 쑥스럽다”면서 “무에서 유를 만들어낸 섬진강기차마을, 우리 군 인구의 7배에 달하는 21만 명이 방문한 2015년 곡성세계장미축제 등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온 군민들의 저력이 최고의 원동력”이라고 밝혔다. 이어 오는 20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2016년 곡성세계장미축제’를 꼭 찾아달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다음은 전남일보에 게재된 유근기 군수 칼럼 全文) /장명국 記者


'곡성(哭聲)'과 다른 '곡성(谷城)'이야기


'곡성'이 소란스럽다. 나홍진 감독의 범죄스릴러 영화 '곡성(哭聲)'이 개봉을 앞두고 있어서다. 영화 '곡성(哭聲)'은 외지인이 나타난 후 시작된 의문의 사건과 미스터리하게 엮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라고 한다.

지역의 이름과 영화 이름의 소리가 같은 것이 우연인지 의도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일부 주민들의 '설마'하는 우려에 우리 군에 대한 이미지에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사측에 우리군의 입장과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그 결과 영화 포스터에 '곡성'이라고만 표기됐던 것에 한자를 병기해 '곡성(哭聲)'으로 표기하도록 했다. 영화 상영시 자막으로 '본 영화 내용은 곡성지역과는 관련이 없는 허구의 내용'임을 내보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우려'를 뒤집어 생각하면 '기회'의 순간이 온다. 1991년 일본의 아오모리 현 사과농장에서는 태풍으로 90%에 달하는 낙과 피해를 입었다. 모두가 망연자실 했다. 위기의 순간에 아오모리 현에서는 10%의 남은 사과를 태풍에도 떨어지는 않는 '합격사과'로 마케팅 했다. '합격사과'는 다른 사과보다 10배 이상 비싼 가격에 팔아 엄청난 매출을 기록했다.

우리 민족은 낙천적이다. 우리의 고전을 살펴보면 부조리한 현실을 그릴 때도 비장함보다 해학으로 엮어내곤 했다. 영화와 우리 지역이 무관하다고 아무리 주장한들 사람들의 머릿속 연상마저 막을 길은 없다. 우리 민족의 낙천성을 믿고 역발상을 통해 곡성군의 대외적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남는 장사다.오히려 영화를 본 많은 사람들이 우리 군을 찾아 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초록잎의 발랄함과 갈맷빛 사철나무의 들뜨지 않는 엄정함에 감탄할 수 있다면 우리 곡성에 올 자격이 충분하다. 유리창에 낀 성에를 지워가며 그리웠던 사람들을 그려본 사람이라면 곡성에 와야 한다.

지금은 사라진 제도지만 우리 군은 '범죄 없는 마을' 사업이 시작된 이래 가장 많은 마을을 배출했다. 2000년부터 60% 이상의 마을이 9회 연속 선정됐다. 이러한 사실만 보더라도 영화 속 음산한 기운과 우리 군을 함께 연상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오히려 우리 곡성군의 봄날을 경험한다면 영화와는 완벽한 대조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봄날의 곡성은 아침이면 김승옥 작가의 '무진기행'에서 표현한 대로 '피부에 탄력을 주는 정도의 공기의 저온'으로 상쾌하다. 해가 산머리 위로 오르면 따스한 봄볕은 어느새 새벽의 기운을 물리치고 섬진강 바람을 타고 여기저기 온기를 나눈다. 10㎞에 이르는 강변길에는 가지와 이별한 벚꽃 잎이 강바람을 타고 미처 다 날아가 버리기 전에 철쭉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5월이면 열흘간 열리는 곡성세계장미축제에는 1004종 수천만송이 장미가 내뿜는 향기가 가득하다.곡성은 길의 고장이다. 하늘 닮은 섬진강은 쉴 새 없이 흐르면서도 속도로써 우리를 재촉하지 않는다. 그 옆에는 물길 따라 자전거길, 자동차길, 기찻길, 숲길이 겹을 이루고 있다. 길과 길이 만나는 곳에서는 사람도 서로 만나 소담한 마을이 만들어지고, 마을마다에는 전설처럼 전해지는 우리네 이야기가 있다.

사람이 그리워 어깨를 한껏 낮춘 산들은 토란과 능이버섯을 아낌없이 베풀어 준다. 들녘에는 새벽이면 이슬로 변하는 섬진강을 머금은 채 딸기, 멜론, 블루베리 등이 영글어 간다. 저녁이면 아이부터 어른까지 한 식탁에 앉아 도란도란 정담을 나눈다. 사람 수만큼이나 많은 희망들이 섬진강 윤슬처럼 함께 반짝이는 곡성은 그야말로 자연 속의 가족 마을이다.

'곡성(谷城)' 50여 년간 부르는 이름이지만 여전히 촌스럽다. 우리네 부모들의 골짜기 같은 주름을 옛날처럼 닮았다. 세련미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그 이름이 투박하다. 그 속에서 따뜻함을 느끼는 이라면 태어난 곳과 상관없이 곡성은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행여 '영화 곡성(哭聲)'을 보고 공포가 주는 즐거움을 느낀 분이라면 꼭 '우리 곡성(谷城)'에 오셔서 따뜻함이 주는 즐거움 한자락이라도 담아갔으면 좋겠다. /유근기(곡성군수)

 

저작권자 © 담양곡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