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저온, 여름 화상병, 가을 벼멸구 걱정
이상기후로 곡성과 담양이 전쟁 중이다.
1년 중 식재료가 가장 풍성한 수확의 계절인 가을이 왔지만 봄·여름·가을 연속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면서 농심은 타들어가고 있다.
봄이면 저온 피해, 여름이면 과수화상병, 가을이면 벼멸구 걱정에 긴장감을 놓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상저온, 잦은 비·이상고온, 이례적인 가을 폭염 등 이상기후와 복합적인 요인이 기승을 부린 영향이다.
올해도 피해 발생했던 것을 걱정하며 봄을 맞이 했지만 다행히 큰 문제 없이 지나간 것은 약과이다. 5월이 되면서 과수화상병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과수화상병은 과수 농가가 가장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 병 중 하나다. 사과·배 등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이 세균에 의해 잎·줄기·꽃·열매 등이 마치 불에 탄 것처럼 말라 죽어가는 병이다. 감염되면 치료제나 방제약이 없어 반경 100m 이내 나무를 뿌리째 뽑아 태운 뒤 땅에 묻는 방식으로 폐기하고 있다.
지난 겨울철 기온이 평년 대비 높고 올해 봄부터 5월 사이 비가 잦아 병 확산에 유리한 환경이 됐다. 과수 농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예방 활동을 벌이면서 더 확산되지는 않았다.
숨 좀 돌리나 싶었지만 이례적인 가을 폭염이 말썽을 부리면서 불청객이 찾아왔다. 수확을 한 달 남짓 앞둔 들녘에 벼멸구 떼가 습격했다.
벼멸구는 주로 6월 중하순부터 7월 중하순 사이 중국으로부터 기류를 타고 들어온다. 줄기의 아랫 부분에 서식하면서 벼의 줄기를 가해해 벼가 말라 죽게 하는 해충이다. 피해를 입은 농가는 거의 수확을 포기해야 할 만큼 치명적이다.
올해 폭염이 이례적으로 9월까지 이어지면서 벼멸구가 활동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다. 벼멸구는 볏대의 즙액을 빨아 먹어 벼를 고사시킨다. 피해를 보면 벼는 잘 자라지 않거나 심하면 말라 죽어 가고 있으며 기온이 내려가지 않아 3세대까지 번식이 이어져 말할 수 없이 번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벼멸구가 넓게 퍼지기 전부터 포기(벼) 하나라도 잡아 보자는 심정으로 약제를 살포했지만 역부족. 번식 속도가 너무 빨라 약제로 효과를 볼 수 없고 농약 안전 사용 기준에 따라 수확 2주 전에는 방제를 마쳐야 해 계속해서 약제를 살포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여기에다 벼멸구 피해에 벼가 쓰러진 구역은 기계가 들어가서 작업을 하기 어려워 일일이 수작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상적인 논 1필지 작업 시 50분이 소요된다면 피해 논은 낫으로 베야 해 한나절이 걸린다.
雪上加霜격으로 벼멸구 피해를 본 볏짚은 소 먹이로도 줄 수 없는데다 올해뿐 아니라 앞으로 기온이 더 올라갈 내년, 내후년 걱정이 앞선다.
농민들은 "앞으로 기후 재난이 계속될 텐데 대책을 세워야 한다. 만약에 대책 없이 계속해서 이런 일이 반복된다면 어떻게 농사지으며 살수있냐"며 “기후 재난에 따른 피해인 만큼 농업재해대책법 시행규칙에 고온에 따른 병해충 피해를 포함시켜 실효성 있는 법, 제도 개선으로 농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다행인 것은 농림축산식품부가 농가 손실을 최소화하고 저품질 쌀 유통을 조기에 막기 위해 농가가 희망하는 경우 벼멸구 피해 벼를 모두 매입할 예정이다.
/정종대 記者
